서울대병원 신경과 김한준 교수님 연구실 귀중.

서울대병원 파킨슨 손떨림 임상 데이터 수집용 PC 프로그램 사용법

💍  파킨슨 환자 손떨림 자동 분류 목적의 IRB용 프로그램입니다.

📝 현재 PC 프로그램 버전: 4.0c (2025년 3월 24일 갱신), 주요 변경 사항

  • ⏱️ 반지 스캔 시간 설정: 기본적으로 30초 동안 반지를 스캔 후 중지하여, 프로그램 오류를 줄입니다.
  • 🔍 반지 스캔 정보 추가: 주변 반지를 스캔하면, 반지 배터리 상태와 데이터 개수를 ‘📦 Status’ 컬럼에 1시간 주기로 표시합니다.
  • ♻️ [데이터 삭제, 재부팅] 버튼 추가: 반지 내부 저장 데이터를 일괄 삭제하고, 반지를 재부팅합니다.
  • 🔌 [반지 끄기] 버튼 추가: 반지의 전원을 끄며, 기록이 중단됩니다. 다시 켜려면 충전기에 올려두어야 합니다.

📞 기타 문의: (주)지티에이컴 양진성 상무 (010-7118-0854)

📈 프로그램을 최초 실행시 화면

    📈 “스캔 시간” 버튼 실행시 화면

    • 주변 반지를 검색하여 발견된 정보를 표시합니다.
    • 표의 Status 컬럼에 반지의 🔋 배터리 잔량, 💾 기록된 데이터 개수, ❌ 오류 정보를 표시합니다. 단, 1시간 간격으로 반지 정보를 갱신하므로, 현재 보이는 정보는 최대 1시간 전 정보일 수 있습니다.
    • 💾 기록된 데이터 개수는 예로 39개인 경우, 39개x5분 = 195분 정보가 기록된 상태를 의미합니다.
    • ❌ 오류 메시지의 경우, 0은 정상, 1은 에러 상태를 의미합니다.
      간혹, 반지가 재부팅하거나 초기화 된 경우 수분간 1 상태를 보일 수 있으나,
     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. 충전기에 반지를 충전하면 다시 갱신되어 0 (정상)으로 변경됩니다. 이부분은 당사 엔지니어링 목적으로 사용합니다.

    📈 “링 연결” 버튼 실행시 화면

    • 표 (스캔된 리스트)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반지를 선택하면 (파란색 표시)
      반지와 블루투스 무선 연결을 수행합니다.
    • 정상적으로 BLE 연결이 성공하면, 아래 그림과 같이 현재 반지의 데이터 개수 (예 32개의 데이터)가 표시되고, 표(리스트)의 “💾 Data” 컬럼에 32개로 표시됩니다. 이 정보가 실제 현재 반지에 저장된 데이터 량입니다.

    📈 “🚀 lbd all (저장 데이터 가져오기)” 버튼 실행시 화면

    • 반지에 저장된 32개의 데이터를 연속해서 가져와서 PC의 현재 폴더 (본 프로그램 실행 폴더)에 csv 파일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.
    • 반지 데이터를 지울려면, “♻️ cmd fotaStart (데이터 삭제, 재부팅 🔄)” 버튼을 눌러서 지울 수 있습니다.

    📈 저장된 csv 파일 형식 예시

    • 반지에서 성공적으로 데이터를 가져오면, 아래 엑셀 보기에서 csv 파일의 데이터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Seq No : 반지의 데이터 가져오기 일련번호입니다. 예로 26과 같이 연속해서 5개의 행이 1분 간격으로 증가하면서 기록됩니다.
      예로, Seq No의 마지막값이 31인 경우, 31 x 5분 = 총 155분의 데이터가 기록되었다는 의미입니다.
    • Timestamp: 반지에서 측정된 시간을 의미합니다. 1분 간격입니다.
    • Temp : 반지에 내장된 온도 센서의 온도값입니다. 5분 간격으로 기록됩니다.
    • Steps : 사용자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걸음수로 환산하여 (보) 단위로 표시한 값이며, 참고용입니다.
    • Act Levels : 한행에 60초간 데이터를 0, 1, 2, … 13, 14, 15와 같이 움직임 강도를 16단계로 연속 구분하여 기록합니다.
      참고로, 0~4 구간은 아주 미세한 손 떨림, 5 ~9 구간은 일반적 손떨림 정도, 10 ~15 구간은 매우 강한 손떨림 또는 충격 등 모션 구간입니다.
    • [주의] 추출된 csv 파일은 안전하게 한번 더 별도 폴더에 백업 저장하기를 추천드립니다.

    📈 “♻️ cmd fotaStart (데이터 삭제, 재부팅 🔄)” 버튼 실행 예시

    • 반지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안전하게 CSV로 저장을 마치 경우,
      데이터를 지우기 위해, 별도로 ♻️ cmd fotaStart (데이터 삭제, 재부팅 🔄) 버튼을 실행해야 내부 데이터가 완전하게 지워집니다.
      데이터를 지우고, 반지를 다시 재부팅합니다. 약 30초후 사용 가능합니다.
    • ♻️ cmd fotaStart (데이터 삭제, 재부팅 🔄)을 수행하지 않으면, 반지에는 과거 데이터를 계속 가지고 있어서, 불필요한 데이터나 데이터 가져오기에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.
    • 사용하지 않거나 가비지 데이터를 지우고자 할 때 이 버튼을 수행하세요.

    📈 “🔌 cmd pdown (반지 끄기)” 버튼 실행 예시

    • 반지를 당분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, 반지 전원을 끌 수 있습니다.
    • 이 버튼을 수행하려면, 최초 링 연결을 먼저하고,
      반지 끄기를 수행하면 됩니다.
      참고로, 반지가 꺼진 경우, “스캔 시작”을 수행하면 리스트에 나오지 않습니다. 왜냐하면 반지 전원이 꺼진 상태로, 무선 블루투스 출력이 없습니다.
    • Off 꺼진 반지를 다시 전원 On 켤려면, 반지를 충전기에 10초 이상 충전하면 자동으로 전원이 On되고 데이터 기록이 시작합니다.

    “📈 Actigraphy 리포트 생성하기” 버튼 실행 예시

    • 저장된 csv 파일을 불러와서, 반지의 움직임 (모션) 강도를 분/초 시계열로 차트로 보이도록 리포트를 생성합니다.
    • 생성된 리포트는 html 형식으로, 웹 브라우저에 자동으로 보여집니다.
    • 리포트 형식은 앞으로 연구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될 예정입니다.

    기타 문의사항.

    본 프로그램 관련 또는 바이탈링 관련 문의 사항이 있는 경우, 아래 정보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.


    (주)지티에이컴

    양진성 상무 (010-7118-0854, jsyang@ztacom.com)


    데이터 수집 프로그램 버전 이력

    • 버전 4c (2025-3-24 릴리즈) : 전원끄기 등 기능 추가.
    • 버전 4b (2025-3-21 릴리즈) : 4차 수정, BLE 스캔 개선, 데이터 지우기 등 기능 추가
    • 버전 3 (2025-2-14 릴리즈) : 3차 수정, 모션 강도 16단계 적용
    • 버전 2 (2025-1-13 미배포) : 2차 수정, 개선
    • 버전 1 (2025-1-10 릴리즈) : 1차 버전, 데모 및 테스트용

    과거 미팅 및 활동 이력

    • 2024-9-9 ~ 2024-9-27 : 김한준 교수님 스마트링 Q&A 이메일
    • 2024-10-4, 오후 2시 : 서울대병원 본관 13층 대면 미팅 (1차)
    • 2024-10-7 ~ 2024-12-20 : 서울대병원 IRB 수행 계획서,
      진행 관련 바이탈링 자료 등 전달
    • 2025-1-3, 오후 3시 : 서울대병원 본관 13층 미팅 (2차),
      반지 12개, 사이즈키트 2개 전달
    • 2025-1-24, 오후 3시 : 서울대병원 인술제중관 미팅 (3차),
      프로그램 전달 및 데모
    • 2025-2-14, 오후 3시 : 서울대병원 인술제중관 미팅 (4차),
      반지 펌웨어 1차 갱신 (모션16단계), 프로그램 개선버전 사용법 설명 등
    • 2025-3-25, 오후 3시 : 서울대병원 인술제중관 미팅 (5차),
      신규 반지 4개 추가 전달, 반지 펌웨어 2차 갱신, 프로그램 설명 등